개발을 할 때 카카오 인증, 카카오 로그인, 카카오 네비, 카카오 지도 등.. 카카오와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kakao 키 해시를 등록해 주어야기능들의 API를 호출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으로 kakao 키 해시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겠습니다
💡 이번 포스팅에서는 카카오 개발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겠습니다
키 해시 등록하기
애플리케이션 등록에서 API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키 해시를 등록해주어야 하는데 디버그 키 해시와 릴리즈 키 해시로 나뉘게 됩니다
✍ <RELEASE_KEY_ALIAS> 부분은 별칭입니다 ✍ <RELEASE_KEY_PATH> 은 jks 파일이 있는 경로입니다 ✍ openssl과 PATH_TO_OPENSSL_LIBRARY\bin\openssl 은 openssl.exe가 설치된 경로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ex) C:\OpenSSL-Win64\bin
릴리즈 키 해시 등록하기 👉 jks 파일 만들기
💡 그런데 여기에서 jks 파일은 뭐지? 정의는 Java 기반의 독자 인증서 바이너리 포맷이다 (이 안에 개인키, 서버인증서 등.. 모두 담을 수 있다) 하지만 복잡하니 릴리즈 키를 만들기 위해선 jks 파일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는 것만 알고 있으십시다
✍ 옵션 설명 - genkey : Keystore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 - v : 상세한 정보를 표시 - keystore : Keystore 파일의 이름을 지정 - keyalg : Keystore 파일에 사용할 암호화 알고리즘을 지정 - keysize : Keystore 파일에 사용할 키의 크기를 지정 ( 단위는 바이트 ) - validity : Keystore 파일의 유효 기간을 지정하는 옵션 ( 단위는 일 ) - alias : Keystore 파일에서 사용할 키의 별칭을 지정
위의 명령어를 토대로 입력하면 비밀번호와 함께 여러 질문을 하는데 기입해 주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비밀번호를 까먹지 않도록 조심합시다! 그리고 다 만들면 저장하는 중 하고 해당 경로로 가면 만들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만들었다면 위에 릴리즈 키 해시 명령어를 사용하여 만들어 줍니다 마찬가지로 만들어진 릴리즈키 해시를 내 애플리케이션 > 앱 설정 > 플랫폼 > 키 해시 란에 기입해 주면 됩니다
릴리즈 키 해시 등록하기 👉 구글 스토어 마켓에 등록했을 경우
💡 그런데 여기서 만약!! 구글 스토어 마켓에 등록을 했다면 변환된 새로운 릴리즈 키를 사용해야 한다 그때에는 구글 플레이 콘솔에 접속해서 본인이 만든 앱 > 설정 > 앱 서명으로 들어갑니다 SHA-1 인증서 지문이 보일 것입니다 복사한 뒤에 아래와 같은 코드로 변환을 해줍니다
echo <SHA-1 인증서 지문> | xxd -r -p | openssl base64
변환을 해주면 마찬가지로 변환된릴리즈 키 해시를 내 애플리케이션 > 앱 설정 > 플랫폼 > 키 해시 란에 기입